사위별칭ㅣ死謂別稱

사위별칭ㅣ死謂別稱


[사위별칭ㅣ死謂別稱]

○ 사람의 죽음을 지위에 따라 달리 부르다.
○ 死(죽을 사) 謂(이를 위) 別(나눌 별) 稱(일컬을 칭)

사람의 죽음을 생전의 지위에 따라 달리 부르는 것이 유가의 경전 중 하나인 ‘禮記(예기)’에 더욱 뚜렷이 나타나 흥미롭다. 曲禮(곡례) 下篇(하편)에 실린 내용을 보자. ‘천자가 죽으면 崩(붕)이라 하고, 제후가 죽으면 薨(훙)이라 하고, 대부가 죽으면 卒(졸)이라 한다. 선비가 죽으면 不祿(불록)이라 하고, 일반 서인이 죽으면 死(사)라고 한다(天子死曰崩 諸侯曰薨 大夫曰卒 士曰不祿 庶人曰死/ 천자사왈붕 제후왈훙 대부왈졸 사왈불록 서인왈사).’

薨은 죽을 훙, 不祿은 녹을 타지 아니하고 죽는다는 뜻이다. 이어서 설명을 덧붙인다. ‘죽은 이의 시신이 침상에 있을 때 尸(시)라 하고, 관에 들어가 있을 때는 柩(구)가 된다. 새의 죽음은 降(강)이 되고, 짐승이 죽는 것은 漬(지)라고 하며 난리에 죽는 것은 兵(병)이라고 한다(在床曰尸 在棺曰柩 羽鳥曰降 四足曰漬 死寇曰兵/ 재상왈시 재관왈구 우조왈강 사족왈지 사구왈병).’ 漬는 적실 지. 죽음에도 계급은 따라간 셈이다.

우리나라에선 임금의 죽음을 태산이 무너졌다고 崩御(붕어), 먼 곳으로 올라갔다고 昇遐(승하)라고 했고 登遐(등하), 禮陟(예척), 陟方(척방)이라 표현하기도 했다. 왕의 죽음을 말하던 天崩(천붕)은 아버지가 돌아가신 아픔을 말하고 地崩(지붕)은 어머니의 죽음을 뜻했다.

종교에 따라서도 나타내는 말이 다르다. 불교에서는 수도승이나 승려의 죽음을 평온한 경지에 들어섰다고 入寂(입적)이라 하고 涅槃(열반)이라고도 부른다. 歸寂(귀적), 入滅(입멸), 滅度(멸도), 寂滅(적멸), 圓寂(원적)도 같은 말이다. 가톨릭에선 착하게 살다가 복된 죽음을 맞는 善生福終(선생복종)의 준말 善終(선종)을 쓰고, 하늘의 부름을 받았다는 召天(소천)은 개신교에서 죽음을 말한다. 또 천도교에선 본래의 자리로 돌아갔다고 還元(환원)이라 쓴다.

+ There are no comments

Add you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