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양관슬ㅣ穿楊貫虱

천양관슬ㅣ穿楊貫虱


[천양관슬ㅣ穿楊貫虱]

○ 버들잎을 뚫고 이를 꿰다
○ 穿(뚫을 천) 楊(버들 양) 貫(꿸 관) 虱(이 슬)

100보나 멀리 떨어진 곳에서 버드나무 잎을 활로 쏘아 꿰뚫는다. 조그만 해충 이를 작은 화살로 쏘아 꿴다. 이런 실력이면 활에 관한 한 신의 경지다. 고구려 시조 朱蒙(주몽)이 ‘활의 명인’이란 뜻을 가졌다고 한다.

穿楊貫虱은 화살로 버들잎을 꿰뚫는 養由基(양유기)와 이를 맞힌 紀昌(기창)이란 사람의 고사를 합쳐서 이뤄졌다. 春秋時代(춘추시대) 楚(초)나라의 장수인 양유기는 전장에서 초왕이 적장의 화살을 맞아 눈을 다치자 화살 한 대로 적장을 사살할 정도의 명사수였다.

어떤 사람이 표적지의 중심 붉은 원을 맞추며 우쭐하는 것을 보고 양유기가 백보 밖에서 맞춰야 진짜 명궁이라 말했다. 그 사람이 발끈하여 시범을 보이라고 하자 양유기는 버드나무 세 잎을 표적지에 붙이고 100보 떨어진 곳에서 연거푸 세 번 쏘아 차례로 떨어뜨렸다. ‘史記(사기)’ 周本紀(주본기)와 ‘戰國策(전국책)’ 西周策(서주책)에 나오는 이야기다.

옛날 甘蠅(감승)이란 명궁은 활을 당기면 짐승이 쓰러지고 나는 새가 떨어질 정도였는데 제자인 飛衛(비위)는 스승을 능가했다. 비위에게 紀昌(기창)이란 사람이 활 쏘는 법을 가르쳐달라고 하자 먼저 눈을 깜빡거리지 않는 연습을 하라고 말했다.

기창은 집에서 부인이 베를 짤 때 배틀 밑에서 왔다 갔다 하는 북을 바라보며 훈련을 하여 깜빡거리지 않게 되자 다시 스승을 찾았다. 이제는 작은 것이 크게 보이고 가는 것이 굵게 보일 때까지 연습하라고 해서 들소의 털에 이를 묶어 창에 매달고 매일 바라보니 3년 뒤에는 수레바퀴 만하게 보였다.

작은 활로 이를 맞혔는데 털은 끊어지지 않고 매달려 있었다(貫虱之心而懸不絶/ 관슬지심이현부절). 그제야 스승 비위는 활 쏘는 법을 터득했다며 기창을 칭찬했다. ‘列子(열자)’ 湯問(탕문)에 실려 있다.

+ There are no comments

Add you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