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국자미ㅣ當局者迷

당국자미ㅣ當局者迷


[당국자미ㅣ當局者迷]

○ 담당하는 사람이 더 모르다
○ 當(마땅 당) 局(판 국) 者(놈 자) 迷(미혹할 미)

요즘이야 형광등 아래가 더 밝겠지만 옛날 등잔은 받침대가 있어 그 그림자로 깜깜하다. 가까이 있는 사람이 도리어 대상에 대하여 잘 알기 어렵다는 비유로 ‘등잔 밑이 어둡다’란 속담이 생겼다. ‘두메 앉은 이방이 조정 일 더 잘 안다’거나 ‘도회 소식 들으려면 시골로 가라’란 말도 있다. 또 바둑이나 장기 따위를 둘 때에 구경하던 사람이 더 고수인 당사자보다 수가 잘 보여 訓手(훈수)를 하는 것도 마찬가지다. 이와 같이 최고를 자부하는 사람이라도 옆에서 보면 빈틈이 있다는 성어로 當局者迷를 쓴다.

唐(당)나라 때의 元澹(원담)은 자가 行沖(행충)인데 일찍이 魏典(위전) 30편을 지어 큰 영향을 끼친 유명한 학자 다. 玄宗(현종)도 그의 학문을 아끼고 재능을 평가하여 어느 때 ‘禮記(예기)’를 유가의 경전으로 삼기위해 원담에게 상세한 교열과 주석을 가하도록 명을 내렸다.

임금의 뜻을 받은 원담은 국자감 박사들과 작업에 매달려 모두 15편으로 엮고 주석을 했다. 이것을 읽은 현종은 만족하며 반포하기 전 우승상 張說(장열, 說은 말씀 설이지만 달랠 세, 기뻐할 열도 됨)에게 의견을 구했다. 정리한 책을 읽어 본 장열은 예기는 오랜 기간 검증을 받은 판본이 있는데 새 주석본으로 대체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고 상주했다.

현종이 이 의견을 따르자 헛고생을 하게 된 원담이 주인과 손님의 대화체로 쓴 다른 글에서 불만을 토로했다. ‘현종 황제와 장열은 모두 당사자들로서 내용을 잘 알지 못하고 있는데, 이것은 바둑을 둘 때 두는 사람은 잘 모르지만 옆에서 보는 사람은 더 잘 아는 것과 같은 것이다(當局者迷, 旁觀見審/ 당국자미 방관견심).’ 이 이야기는 ‘新唐書(신당서)’ 원행충전에 나온다.

+ There are no comments

Add yours